충남경제

충남 경제 전반의 흐름과 부문별 동향을 월 단위로 분석하여 제시하고,
주요 경제지표, 경제 용어 등을 수록하였습니다.

월간 충남경제 6월호
  • 작성일 : 2025-07-03
  • /
  • 작성자 : 경제동향분석센터
  • /
  • 조회 : 33
첨부 |

최근 충남경제는

  • (경기종합지수) 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4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OLED와 이차전지 등 중간재 수출액과 지난해 하반기부터 감소세를 이어온 제조업 전력판매량이 소폭 개선되며 전월보다 +0.2p 상승, 향후 경기 흐름을 나타내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자부품 등 제조업의 출하 증가세 둔화, 2개월 연속 증가하던 반도체 주가지수의 조정, 자본재수입액 감소 등 주요 구성지표가 위축되며 전월보다 -0.2p 하락
     
  • (경기심리지수) 6월 경기심리지수는 높은 체감물가와 소상공인 매출 부진 등은 체감 경기 회복 저하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중소기업과 소비자 경기 회복 기대감이 반영되며 전월대비 +0.1p 상승, 7월 단기 전망도 +2.4p 상승
     
  • (산업 생산) 4월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-2.3%로 감소 전환, 자동차 및 트레일러·정제업 생산 증가세 유지, 1차금속 제조업 소폭 증가 전환, 전자부품, 컴퓨터, 영상, 음향 및 통신장비·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생산은 감소 전환
     
  • (수출입) 5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+0.7%로 증가 전환, 반도체 수출 증가가 전체 수출액 증가의 주 요인,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·컴퓨터(SSD)·석유제품·합성수지·기초유분 등 주요 수출 품목은 감소, 중국· 홍콩을 제외한 주요 수출국인 베트남·미국·대만으로의 수출이 증가
   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-6.4%로 8개월 연속 감소, 원유(금액 +15.0%, 물량 +40.9%) 수입 물량은 증가하였으나 국제유가가 하락하며 수입액 감소세는 지속, 연계산업 수요 위축으로 나프타(금액 -66.4%)와 유연탄(금액 -59.4%) 수입 감소세도 지속
     
  • (고용) 5월 경제활동인구·취업자 수 등 주요 고용지표 증가세 지속, 증가폭 확대
   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 및 임시·일용근로자 증가세 지속, 임시근로자 증가폭 확대, 자영업자 9개월 만에 감소 전환(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2개월 연속 감소,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큰 폭 증가)
    도소매·숙박음식점업 등 주요 서비스업 고용 증가세 지속, 제조업 고용 소폭 증가, 건설업 및 농림어업 고용은 감소세 지속
     
  • (물가) 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+1.9% 상승, 상승폭 -0.2%p 축소, 상승률 전국 17개 시도 중 대전·강원·경남과 공동 6위, 석유류 가격 하락폭 확대, 수산물·곡물·축산물 가격 상승세, 외식 및 가공식품 물가 상승폭 확대
     
  • (소비) 4월 대형소매점판매액은 전년동월대비 -4.5% 감소, 높은 체감물가 및 美 관세부과에 따른 여파 우려, 정치적 불안 등으로 대면 소비 위축세 여전히 지속
     

※ 충청남도 경기심리지수는 2024년 5월부터 월간 충남경제에 수록되어 통합 발표됩니다.